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유용한 정보

우리가 몰랐었던 재미있는 사실들 여러가지 3편




우리가 몰랐었던 재미있는 사실들 여라가지 1 <- 클릭 

우리가 몰랐었던 재미있는 사실들 여라가지 2편 <- 클릭







우리가 몰랐었던 흥미로운 사실들  3편


 






1새장달맞이꽃1.JPG

1새장달맞이꽃2.JPG

1새장달맞이꽃3.JPG

 

 달리기하는 꽃

아프리카 서쪽 사막에서 자라는 새장달맞이꽃은 모래에 뿌리를 얕게 내려 물을 빨아올린다.
하지만 모래에 햇볕이 내리쬐면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에 새장처럼
생긴 둥근 몸을 굴려 새로운 모래를 찾아 나선다

 


 

2eu번호판.jpg

 

2홍콩번호판.png

 

2부칸번호판.jpg

나라별 자동차 번호판

홍콩은 번영을 뜻하는 3과 8이 많은 번호판이 인기다.
유럽 연합 (EU) 은 국가별로 이니셜, 국기 등을 표시한다.
오스트리아는 왕가의 문장을 새긴다.
미국은  "엄마 사랑해.", "여보 고마워" 와 같이 메시지를 담는 번호판을 판다.

 

 

 



 

 

 

3황영조근황 국민체육진흥공단 마라톤팀 감독.jpg

페이스메이커

중거리 이상의 경주에서 기준이 되는 속도를 만드는 선수를 일컫는다.
마라톤 경기에서 자국 선수들끼리 뭉쳐 달리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중에 페이스메이커가 있다.
마라토너 황영조도 페이스메이커로 출발했다.

 

 

 



 

 

4S노쨩활.jpg 

효시(嚆矢) 

소리를 내는 화살이다.

화살촉 부위에 뚫린 구멍이 공기 저항을 받아 특이한 음향을 낸다고 해서 '울릴 효' 자를 썼다.
주로 지휘관이 공격 개시를 알리는 신호음으로 발사했다.

일의 시초를 뜻하는 단어 '효시'가 여기에서 나왔다.

 

 




 

 

 

 

5맥주.jpg

따뜻한 맥주 

식수가 깨끗하지 못해 물을 끓여 마시는 습관이 있는 중국인은 한여름에도 더운물과 차를 즐겨 마신다.
차가운  음료를 꺼리기 때문에

맥주도 미지근하거나 뜨겁게 마시는 경우가 많다.

 

 



 

 

 

 

 

 6S배관.jpg

세면대 배수관 왜 S 자일까?

 만약 배수관이 일자라면 하수도에 있는 쥐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올 수 있다.
에스(S) 자일 때는 항상 일정량의 물이 고여 있어

해충이나 쥐가 뚫고 올 수 없을 뿐 아니라 악취도 차단한다.

 

 



 

 

 

 

 7 Miku Ohashi (大橋未久) - [②ⓞ①③.⑨] [ⓜoodyz] [MIDE007][05-07-03].JPG

빨리 잠드는 법 

▶취침 한 시간 전에 전자 제품 전원을 끈다.
▶걱정거리를 일기로 쓴다.
▶취침 15분 전 알람을 설정한다.
▶양치와 세수, 잠옷을 입는 등 잠자리에 들기 전 똑같은 일상을 반복 한다.
▶운동은 가급적 아침이나 낮에 한다.

 

 


 

 

 

8푸에트리코 Mayra Matos Perez (1988년생, 키 178cm).jpg

 

8일본왕세자비 노답.png

 

성년의 나이

세계에서 가장 빨리 성인이 되는 나라는 푸에르토리코다.
만 14세가 되면 성년으로 인정받는다.
일본은 만 20세지만 왕세자, 왕세손은 만 18세면 성년으로 인정한다.

 

 



 

 

9데이지꽃.jpg  

데이지와 날씨
데이지는 대기 중의 습도에 민감하다.
날씨가 흐려져 습도가 높아지면 꽃잎을 오므려 눈을 닫는다.
그래서 서양에서는 "데이지가 눈을 닫으면 비."라는 속담이 전해진다.

 



 

 

10물마시는병아리찡.jpg  

우주로 간 새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연구 때문에 우주에 보낸 새는 모두 굶을 수밖에 없었다.
중력이 없으면 먹이를 삼킬 수 없는 것을 깜빡한 것이다.
새가 물 한 모금을 마신 뒤 머리를 추켜올리는 것도

 중력을 빌려 물을 내려보내기 위해서다.

 

 



 

26해인사짜장.jpg  

스님 짜장면
해인사 인근 중국집에서는 스님 짜장면을 판다.
어떻게 하면 스님도 맛있게 짜장면을 먹을까 고민하다가

 고기 대신 버섯, 채소 등으로 독특한 맛을 개발한 것.
몸에 좋은 짜장면으로 소문나 전국에서 손님들이 몰린다.

 

 




 

 

 

11덕수궁가정당.png  

 딸을 위한 유치원
조선 고종 황제는 예순 살에 고명딸 덕혜 옹주를 얻었다.
그는 뒤늦게 얻은 딸을 무척 아끼고 사랑했다. 
1916년에는 덕혜 옹주의 교육을 위해 덕수궁 안의 준명당과 즉조당 일곽에 유치원을 만들었다.

 



 

 

 

 

12금메달은 개소리.jpg

금메달은 사실 은메달?
국제 올림픽위원회(IOC) 규정에 따르면

 금메달은 92.5퍼센트 이상 은을 사용하고 순금 6그램 이상으로 도금돼 있다.
성분만 따지면 은메달과 큰 차이 없다.
선수들이 메달을 깨무는 퍼포먼스를 해도

 순금이 아니라 자국이 남지 않는다.

 

 



 

 

 

 

13갓카 콜센터 처음.jpg

들어 주는 회사
일본에 '잘 들어 주기 클럽'이란 회사가 있다.
이 회사는 고객의 온갖 푸념과 욕설, 자랑거리를 전화로 들어 준다. 요금은 10분당 1,000엔 (약 11,000원)으로
싼 편이 아니지만 고객들의 평균 이용 시간은 70~80분에 이른다.

 

 



 

 

14구불구불길.png

눈앞의 길
미국 국립보건원 임상연구센터에서는 사람들을 구불구불한 길을 따라 걷게 한다.
숨을 천천히 들이쉬고 내쉬면서 눈앞의 길에 집중하면

 뇌가 불안해지는 것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15븅신들.png

종이봉투와 바게트

영화나 드라마에서 긴 바게트를 종이봉투에 담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이는 단순히 멋 내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바삭한 바게트를 비닐봉지에 담으면

 통풍이 되지 않아 눅눅해져 식감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16빠따.jpg

부부 싸움을 부르는 말
결혼한 남년 652명을 조사한 결과 열 명 중 일곱 명이 배우자의 말투 때문에 싸움이 커진다고 답했다.
"당신 탓이야.(28.6%)"
"갈라서.(15.9%)"
"당신 집안이 그렇지 뭐."(13.3%)"
"결혼 후회해.(11.7%)"
등의 말로 상처 받았다.

 

 




 

 

17추상미술.jpg

추상 미술의 탄생
화가 칸딘스키가 외출했다가 돌아왔는데 화면 구성과 색채 조화가 뛰어난 그림이 눈에 들어왔다.
며칠 전 자신이 그린 풍경화가 거꾸로 놓였던 것이다.
시선에 잡히는 구체적 대상과 기존의 통념을 깨뜨린 추상 미술이 여기서 출발했다.

 

 

 


 

 

18라디오DJ.jpg

라디오 디제이 프로그램
1935년 미국 서부의 한 방송사가 어느 밴드의 공연을 중계하려다 취소되자 시간을 때우기 위해
밴드 음악을 틀며 중계하듯 방송했다. 뉴욕 방송 아나운서 마틴 블록이 이 아이디어를 가져다 디제이 프로그램을 만들어 인기를 끌었다.

 

 



 

 

19빨간.JPG

밑줄 효과
1997년 미국의 두 과학자가 학생들에게 시험에 나올 내용을 나눠 주었다.
A그룹에게는 중요 부분에 밑줄을 긋고,
B그룹에게는 그냥 주었다.
그 결과 A그룹은 밑줄 위주로 암기한 반면, B그룹은 스스로 밑줄 치며 적극적으로 공부했다.

 

 

 



 

20슈퍼마켓뱅.png

짝 지어 주는 슈퍼마켓
프랑스 파리에는 짝을 지어 주는 슈퍼마켓이 있다.
독신이라는 징표를 보라색 장바구니를 들고,

마음에 드는 이성을 찾아다니는 것이다.
매주 목요일 저녁이면 모두 정장 차림으로 슈퍼마켓에 간다.

 

 




21사진못구했다게이들아.png

비행기 교과서
하늘을 나는 비행기가 아니라 6.25전쟁 때 쓴 임시 교과서다.
<비행기> 외에 <군함>, <탱크>도 있었다. 1951년에 발간해서 1952년 말까지 사용했다.
초등학생 1,2학년 전시 교육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22모네자화상.JPG  

모네와 복권
인상파 화가 클로드 모네는 1891년 10만 프랑(약 1억 천만 원)짜리 복권에 당첨되어 경제적으로 독립할 수 있었다.
그래서 자기가 원하는 대로, 어디에서나 마음 놓고 그렸고 훌륭한 전원 풍경의 명작들을 남겼다.

 

 



23착호갑사.jpg  

호랑이 사냥꾼
조선 왕조는 '착호갑사'라는 호랑이 사냥꾼을 440명이나 두었다.
실록에 따르면 태조부터 철종까지 호랑이가 937회 나타났고 피해자가 3,989명에 달했다
위험 한 일인 만큼 출세 기회가 주어지는 전문직이었다.

 





출처 : 내용 - 좋은 생각 9월호

 

이미지-구글 , 네이버